본문 바로가기

이력관리

이력 엔터티 판단 시점 2 이전 글에서 개념•논리•물리 모델링 단계의 구분 없이 엔터티를 정의하는 시점에 이력 데이터 관리도 같이 정의하는 것이 효율적이라 설명드렸는데요. 하지만 논리 모델링이 끝난 시점에 이력 관리를 한꺼번에 적용하는 것도 또 다른 방법입니다. 실무에서 자주 사용되는 편입니다. 이 방법의 장점은 본질 데이터를 먼저 완전하게 도출한 이후에 이력 데이터를 고려하므로 본질에 집중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분리가 가져다주는 단순함은 또 다른 장점이고요. 초보 모델러에게 절차는 좋은 가이드가 되기도 합니다. 단점은 이전 글에서 설명했듯이 모델링 후반에 모델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어떤 업무는 이력 엔터티를 설계하지 않고는 전체 모델에 대한 방향조차 잡기 힘들 수가 있습니다. 또 한가지 중요하게 고려할 점은.. 더보기
이력 엔터티 판단 시점 언제 이력 엔터티를 도출하는 것이 좋을까요? 개념 모델링 단계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물론 핵심적이지 않은 엔터티는 논리 모델링 단계에 도출해도 됩니다. 본질 데이터를 먼저 확고히 해야 한다는 점만 주의하면, 개념 모델링 단계에서 이력 엔터티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무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력 엔터티를 물리 모델링 단계에서 고려하는데요. 이력 데이터가 본질 데이터가 아니라서 뒷 단계에서 별도로 고려합니다. 하지만 이력 데이터 관리 방법에 따라 모델 구조가 바뀔 수 있어 후반에 별도의 타스크에서 고려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핵심 엔터티의 구조가 후반에 바뀔수록 영향은 심각해집니다. 주요 엔터티는 본질이 정의되는 시점에 이력 데이터 관리 방안을 같이 논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효율적.. 더보기
어떤 데이터를 이력 데이터로 관리해야 하는가? 이력 데이터의 가장 커다란 특징은 변하는 데이터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력 데이터를 관리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어떤 데이터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할 수 있는지가 기본적인 기준이 됩니다. 시간이 흘러도 데이터가 변할 수 없다면 이력 관리 대상이 아닙니다. 그리고 특정 데이터의 과거 상태를 추적할 필요가 있으면 이력 데이터를 관리해야 하는 대상이 됩니다. 데이터가 변경됐지만 변경되기 전에 어떤 데이터였는지 관심이 없다면, 알아야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 데이터라면 이력 관리 대상이 아닙니다. 해당 데이터에 대해서 업데이트만 하면 되니까요. 물론 데이터의 과거 상태를 추적할 요건이 없더라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데이터가 변할 수 있다면 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모델을 우선으로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업의 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