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에 대해서 용어에 대해 잠깐 얘기하려 합니다. 심도있게 논의하고 싶지만 아직 역량이 안 돼 간략하게요. 용어를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는지 개인차는 있겠지만, 중요하다는 것에는 모든 사람이 동의할 것입니다. 저는 대단히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간혹 설명으로 이해 못 했던 게 용어를 보고 이해하는 경우가 많고요. 설명으로 이해한 것과 용어로 받아들인 게 달라지면 뒤죽박죽돼 결국 이해하지 못한 게 되기도 하고요. 용어는 대개 약속이라 정하면 그만일 듯 하지만 딱 맞지 않는 약속은 정하지 않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내는 걸 별로 좋아하진 않는데요. 책임이 따르는 일이기 때문에 매우 신중하고, 사실은 경계하는 것 중의 하나입니다. 특별히 과시용으로 만드는 것을 스스로 경계하고요. 하지만 기존에.. 더보기 이력 엔터티를 설계하는 10가지 방법 – 여섯 번째 여섯 번째 방법은 모델링하기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적어도 표면적으로는요. 변경된 모든 속성의 데이터를 하나의 엔터티에서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흔히 종테이블(Vertical Table)이라고 하는데요. 속성 단위로 관리하기 때문에 이력 관리 대상 속성을 코드화해서 관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림1] 계좌 엔터티 속성 중에서 역할을 의미하는 계좌관리사원번호 속성은 별도의 엔터티에서 이력 데이터를 관리하기로 하고요(역할에 대해서는 이전 글을 참조 하세요. http://dataprofessional.tistory.com/62). [그림1] 그리고 나머지 속성은 이번에 설명하는 방법인 [그림2]와 같이 관리합니다. [계좌이력속성] #속성코드 속성명 100 계좌명 110 계좌비밀번호 [계좌이력] #계좌번호 #속.. 더보기 이력 엔터티를 설계하는 10가지 방법 – 속성 단위 이력 관리 예제 이번 시간에는 속성 단위로 이력 관리하는 방법을 정리하는 의미로 다양한 예제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처음부터 다시 읽지 않으려면 잘 따라오셔야 합니다. ㅎㅎ 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방법처럼 한 속성만으로 이력 데이터를 설계하는 방법은 역할(Role)을 관리할 때 자주 사용합니다. 실체 엔터티 간 관계(역할)는 주로 별도의 엔터티에서 관리합니다. 계좌 관리 사원을 관리한다면 [그림1]과 같은 모델이 기본입니다. [그림1] 위 모델에서 변경된 과거 관리 사원까지 관리한다면 [그림2]와 같이 됩니다. [그림2] 계좌관리사원 엔터티에서 현재 계좌를 관리하고 있는 사원과 과거에 관리했던 사원을 함께 관리합니다. 현재 데이터도 관리하므로 ‘~이력’이란 단어를 엔터티명에 사용하지 않았고요. 역할을 관리하는 엔터.. 더보기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 61 다음